2025년 하반기, 세 남자의 도박

2025년 하반기, 세 남자의 도박

지금 이 순간

코스피 3600선. 비트코인 11만 달러. S&P500 사상 최고치.

4월 관세 쇼크 이후 반년 만에 돌아온 시장.

하지만 이건 막간이다.

트럼프의 관세 게임

2025년 4월 2일, 트럼프가 “해방의 날”을 선포했다. 전 세계에 10% 기본 관세. 한국 26%, 중국 145%, EU 20%.

다음날 시장이 폭등했다. 다우 7.9%, S&P500 9.5%, 나스닥 12.2%. 트럼프가 관세를 몇 시간 만에 연기했으니까.

하지만 8월 7일, 관세는 결국 발효됐다.

트럼프의 의도

미국 무역 적자 연 1.2조 달러. 그는 이걸 국가 위협으로 본다.

미국 예산연구소 계산: 캐나다·멕시코 25% + 중국 20% 관세만으로 미국 실질 관세율 7%포인트 상승. 1943년 이후 최고.

미국 가구당 연간 1600~2000달러 부담 증가. 2025년 실질 GDP 성장률 0.6%포인트 하락 전망.

세 가지 시나리오

시나리오 1: 협상 카드
일부 국가와 협상 타결. 반도체 같은 전략 품목 면제.

시나리오 2: 장기전
트럼프는 2018년부터 관세 신봉자. 2026년까지 지속 가능.

시나리오 3: 스태그플레이션
물가 상승 + 경기 침체. JP모건은 경기침체 확률을 30%에서 40%로, 골드만삭스는 20%에서 35%로 상향.

2008년, 2020년에 이어 세 번째 글로벌 경기침체.

파월의 줄타기

현재 미국 기준금리 4.25%. 2024년 9월부터 인하 시작했다가 2025년 1월과 3월 두 번 연속 동결.

10월 FOMC 금리 인하 확률? 시장은 거의 100%로 본다.

파월의 딜레마

“고용과 물가 사이 균형 잡기 어렵다.”

너무 빨리 내리면 인플레이션. 너무 늦으면 고용 악화.

트럼프 관세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. 금리 인하하면 물가에 기름 붓기.

세 가지 시나리오

시나리오 1: 점진적 인하 (가장 가능성 높음)
10월 0.25%포인트. 이후 3개월마다 0.25%씩. 연말 3.75~4.0%.

시나리오 2: 인하 중단
관세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크면 4.25% 고정.

시나리오 3: 긴급 대폭 인하
경기침체 본격화 시 0.5%포인트 대폭 인하. 단, 물가 급등 리스크.

이재명의 베팅

8월 22일 ‘새정부 경제성장전략’ 발표. ‘AI 3대 강국’, ‘잠재성장률 3%’, ‘국력 세계 5강’.

AI 대전환·초혁신 경제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하반기부터 즉시 추진.

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 0.9%. 2026년 1.8%.

부동산의 역설

10.15 대출 규제. 투기는 일부 억제했지만 부의 양극화는 심화.

KB부동산 8월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 6.6. 6월 6.4 → 7월 6.5 → 8월 6.6 계속 상승.

현금 부자만 산다. 청년은 더 힘들어졌다.

세 가지 시나리오

시나리오 1: AI 올인 성공
AI, 반도체, 원전 주도 성장. 2026년 성장률 2.5% 이상. 코스피 4000 돌파.

시나리오 2: 재정 부담 확대
2026년 예산 728조 원 편성. 확장 재정으로 단기 부양. 장기적 재정 건전성 우려.

시나리오 3: 대출 규제 완화
부동산 시장 침체 심화 시 규제 일부 완화. 단, 양극화는 지속.

코스피: 반등의 진실

2025년 10월 10일 코스피 3611포인트. 전일 대비 1.73% 상승. 한 달간 7.97% 상승.

4월 9일 2293.70까지 떨어졌다가 반등.

변수들

긍정
미중 갈등 완화, 양도세 대주주 기준 완화 기대감, AI 반도체 호황.

부정
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, 원달러 1400원 돌파, 외국인 매도세.

2025년 말 예측

낙관 (40%): 관세 협상 타결, 금리 인하 지속 → 코스피 3800~4000
중립 (50%): 현 상황 유지, 박스권 등락 → 코스피 3400~3700
비관 (10%): 미중 갈등 격화, 경기침체 → 코스피 2800~3200

미국 주식: 황금기의 함정

2025년 10월 8일 S&P500 6768포인트. 전일 대비 0.80% 상승.

10월 들어 S&P500과 나스닥 사상 최고치 연속 경신. 셧다운에도 불구하고.

4분기 황금기

1950년 이후 4분기는 80% 확률로 상승. 평균 4.2% 수익. 1분기 평균 2.2%의 거의 두 배.

S&P500 평균: 10월 1.52%, 11월 2.62%, 12월 0.93%. 3개월 합계 5%, 중앙값 6.65%.

변수들

긍정
엔비디아 CEO: “지난 6개월 컴퓨팅 수요 급격히 증가”. AMD와 오픈AI 제휴로 AI 반도체 경쟁 확대.

부정
밸류에이션 부담, 관세 불확실성, 빅테크 수익 성장 둔화 우려.

2025년 말 예측

낙관 (35%): AI 특수 지속, 금리 인하 효과 → S&P500 7200~7500
중립 (55%): 횡보 후 소폭 상승 → S&P500 6800~7100
비관 (10%): 이익 경고 발생 → S&P500 6200~6500

비트코인: 제도권의 아이러니

2025년 10월 15일 비트코인 112,762달러. 10월 6일 사상 최고가 126,286달러 기록.

1월 트럼프 취임일 109,079달러, 5월 중국 관세 완화 시 111,814달러, 10월 첫 금리 인하 후 126,286달러.

왜 오르나

1. 제도권 진입
2025년 3월 미국 정부 Strategic Bitcoin Reserve 창설. 압수한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보유.

기관 자금이 비트코인 ETF에 유입. 2025년 700억 달러 초과 예상. 비트코인 시가총액의 8%.

2. 공급 감소
2024년 4월 네 번째 반감기. 채굴 보상 6.25 BTC → 3.125 BTC.

현재 하루 450개 비트코인 채굴. 기업과 ETF가 그 20배 확보 중.

3. 인플레이션 헤지
인플레이션 압력 존재 시 금과 함께 헤지 자산으로 주목.

리스크

현재 RSI 70 이상, 과매수 구간. 기관 매집 후 차익실현 우려.

전문가 전망

스카라무치: 17만 달러
제마니아 CEO: 15만 달러
번스타인: 20만 달러

2025년 말 예측

낙관 (30%): 기관 수요 폭발 → 비트코인 16만~20만 달러
중립 (60%): 점진적 상승 → 비트코인 14만~16만 달러
비관 (10%): 규제 리스크 현실화 → 비트코인 9만~11만 달러

통합 시나리오

시나리오 A: 골디락스 (20%)

트럼프 관세 협상 타결, 파월 점진적 금리 인하, 이재명 AI 정책 성과.

코스피 3900, S&P500 7300, 비트코인 17만 달러.

시나리오 B: 연착륙 (60%)

관세 지속되지만 협상 진행, 금리 완만하게 인하, 한국 경제 1%대 성장.

코스피 3600, S&P500 6900, 비트코인 15만 달러.

시나리오 C: 경기침체 (15%)

미중 무역전쟁 격화, 파월 금리 동결, 한국 성장률 0%대.

코스피 3000, S&P500 6300, 비트코인 10만 달러.

시나리오 D: 스태그플레이션 (5%)

관세로 물가 급등, 파월 금리 인상 재개, 동시 경기침체.

코스피 2700, S&P500 5800, 비트코인 8만 달러.

지금 당장 해야 할 일

1. 포트폴리오 재점검

리스크 자산 비중 점검. 현금 비중 15~20% 유지. 달러 자산 분산.

2. 시나리오별 대응 준비

골디락스: 위험자산 비중 확대
연착륙: 현상 유지
침체: 안전자산으로 이동

3. 섹터 전략

강세 유망: AI 반도체, 원전, 방산
주의 필요: 부동산, 소비재, 자동차
헤지 자산: 금, 달러, 국채

11월 주목 포인트

11월 초: FOMC 금리 결정
11월 중순: 미중 정상회담 (G20)
11월 말: 한국 3분기 GDP 발표

12월 분수령

12월 FOMC 금리 인하 확률 98%.

12월이 2025년 투자 성과를 결정할 마지막 변곡점.

세 사람의 게임

트럼프는 관세로 도박했다.
파월은 금리로 줄타기한다.
이재명은 AI로 올인했다.

2025년 하반기 시장은 이 세 사람의 게임이다.

당신은 어느 쪽에 베팅할 건가.

아니면 세 가지 모두에 조금씩 걸 건가.

정답은 없다.
확률만 있을 뿐이다.

댓글 남기기